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프로그래밍 실습2

[PLC] HMI 화면 구성 [개요]아직 PLC와 연동은 하지 못했지만 HMI 인터페이스를 구현해보았다.[배운점]도구 상자에 있는 다양한 오브젝트의 역할을 알았다.특히 그래프 오브젝트들의 기능을 하나씩 구현해보았고, 실무에서 구경했던 그래프도 보였다. (미터그래프) 숫자입력과 문자입력이 달라서 문자로 15를 입력해도 숫자표시기에는 15를 표시하지 않고 다른 숫자를 표기한다.다른 이유는 아마 메모리할당이나 ASCII 코드 관련으로 데이터값이 다르게 인식되기 때문이다. 화면전환은 모든 화면에서도 서로 공통되게 버튼이 있어야하므로 기본화면으로 미리 GUI를 만들어두고, '모든기본화면의 배경으로설정'을 설정해주면 된다. 워드램프/스위치에서 +와-를 조건값이 오버되지 않도록 동작조건,램프조건을 설정해주는데 헷갈릴 수 있다.동작/램프조건은 +.. 2025. 3. 11.
[PLC] 사용자 펑션/펑션블록 구현 실행으로 ,,를 'ON/OFF' 하여 LAMP1, LAMP2가 'ON/OFF'되는걸 0과 1로 표현되는걸 알 수 있다.PLC 연동시 메모리값만 할당하면 된다. 해석[1] 초기조건는 'OFF'상태로 되어있을 것.은 'OFF'상태로 되어있을 것.은 'OFF'상태로 되어 있을 것. [2] 동작1. 을 'ON'할 시, TP1.IN으로 전원값 1이 입력되어 설정된 PT=T#5s 동안 LAMP1이 'ON'된다.1-1. 이때, OR(병렬)연결된 TON1과 TON2는 반복되지만 TP1.Q와 TON1.Q가 OR연결되어있어 TP1.Q가 출력을 보내는 5초 동안은 의미가 없다.2. PT=T#5s가 지나면 TP1.Q는 'OFF'가 되지만, TON1과 TON2는 계속 동작하여 LAMP1이 'Flicker'된다.3. 을 'ON'.. 2025. 3. 10.